겨울철 실내 적정습도 온도는 얼마일까요? 추운 날씨, 집안의 온습도 관리는 무척이나 중요한데요. 너무 높아도 안 되고, 낮아도 감기나 비염, 안구 건조증 같은 여러 질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쾌적한 생활을 위한 적정한 정도는 얼마일지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습도 온도는?
<습도>
실내의 적절한 습도는 40~60% 정도가 가장 좋습니다.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우리 코나 목의 점막 장벽이 약해진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건조해짐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들어오기 좋은 환경이 되고, 감기나 여러 감염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너무 높아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70% 이상이 되면 실내가 습해 곰팡이 균 번식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고,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땀이 잘 마르지 않고, 오히려 겨울철에는 체감 온도가 내려가 추위를 느끼게 됩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집 습도 높이는 방법
가습기를 쓰는 것도 좋으나, 자연적인 용품을 이용하고 싶으시다면 가습 식물을 키워보시는 것도 도움됩니다. 혹은 젖은 수건을 널어놓거나 빨래를 말리는 것도 좋고, 숯 등을 활용하여 실내 습기를 조절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온도>
온도 역시나 적절하게 유지해주는 게 좋습니다. 알맞은 실내 기온은 18~20℃가 좋은데요. 다소 춥게 느껴질 수는 있으나 이것이 에너지 절약뿐 아니라 건강 유지에도 유익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내와 실외의 기온 차가 크지 않게 해야 온도 변화로 인한 혈액순환 이상 및 건강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조금 쌀쌀하더라도 실내에서는 두툼하게 옷을 껴입고 지내거나, 여러 방한용품/소품을 통해 체온을 유지해주는 게 좋겠죠.
겨울철 실내 적정습도 온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사람이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건강뿐만이 아니라 일 능률 증가, 에너지 절약 등 여러모로 이점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래 뱉는법 쉽게 배출시키기 정리했어요 (0) | 2022.02.11 |
---|---|
지방간에 좋은 음식 BEST 5 알아봅시다 (0) | 2022.02.09 |
병풀 효능 뜻과 좋은 기능 무엇인지 알아봐요 (0) | 2022.01.26 |
m세대 z세대 특징에 관하여 쉽게 정리! (0) | 2022.01.20 |
환태평양 조산대 뜻, 관련 내용 정리(불의 고리) (0) | 2022.01.18 |